Spring2 Spring Data JPA가 새로운 entity를 판단하는 기준(with Kotlin) Java를 사용하면 고민할 필요가 없어 그냥 넘어가는데, Kotlin으로 JPA를 사용하면 한 번쯤 생각해봐야 하는 것이 있다.나의 경우 PK인 id 프로퍼티를 어떻게 선언해둘지 고민하다 Spring Data JPA 내부 구현체를 살펴보고 새로운 entity를 어떻게 판단하는지 직접 확인해보며 정리해봤다.Java냐 Kotlin이냐 상관 없이 공통적인 내용이 있어 잘 알아두는 게 좋을 것 같다.테스트 환경Kotlin 1.9Spring Boot 3.2.3Spring Data JPAMySQL 8TestcontainersSpring Data JPA 내부 구현체package me.ramos.guide.repositoryimport me.ramos.guide.domain.Itemimport org.springfra.. 2024. 12. 29. Spring Profile과 외부설정 파일, 그리고 단위 테스트 보통 Spring 외부설정 파일을 하나로 통합하여 파일 내에서 profile 별로 구분짓곤 한다.필자의 회사에선 local, dev, alpha, beta, staging, real 의 단계로 서비스 개발 및 배포 스테이지를 구분한다.한 파일로 통합하여 관리하기엔, 가독성이 떨어진단 생각이고 우리 팀 내에서도 스테이지에 따라 application-dev.yml, application-alpha.yml 등과 같은 형식으로 파일을 분리하곤 한다. Unit Test를 위한 환경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긴 하다. 특히나 DB의 경우 H2와 같은 인메모리 기반 DB로 테스트를 수행하기 보단 개발 자원에 여유가 충분하다면 Real DB 환경과 동일하게 구성하여 맞추는게 좋다고 생각한다. 그렇다고, src/main/re.. 2024. 7. 20. 이전 1 다음